어떤 미래가 기다리고 있을까
·
✨ Story Generation/연구 관련 생각
스토리 생성과 관련된 무수히 많은 논문들이 나와있는 것을 보며, 정말 머지 않았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생각보다 마이너한 연구 분야 같으면서도 사람들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접근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꾸준한 수요가 있는 것 같다. 사람이 쓴 소설도 인공지능이 평가를 하는 시대가 오게 될까? 바둑이 AI 답안을 내놓고 사람들이 그걸 참고하듯이, 운동선수가 데이터 분석 결과를 보고 그걸 참고하듯이, 소설도 AI의 답변을 보고 그걸 참고하며 소설을 쓰는 날이 올까.
[2502] 스토리 생성 연구 방향
·
✨ Story Generation/연구 관련 생각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소설을 쓰는 이유
·
✨ Story Generation/연구 관련 생각
문득 떠오른 생각들이기에 두서없는 글이 될지도 모르겠다. 기억과 기록에 의하면 약 2011년부터 '이야기'다운 글을 쓰기 시작한 것 같다. 소설을 처음 쓰게 된 이유는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다만, 학교에서 그 날 있었던 일들을 바로바로 글로 옮겨 적으며 묘사하는 것이 재밌었던 것 같다. 그 뒤로도 내가 쓴 이야기를 누군가 봐 주는 것이 즐거워서 소설을 계속 써온 것 같기도 하다. 최근에 든 생각은 너무나도 '이야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나는 아직도 소설을 쓰고 있는 것 같다.  이야기를 좋아했기에 수많은 책들과 영화, 드라마를 탐닉했다. 세계관과 스토리, 캐릭터에 몰입했기에 주인공들의 성취와 희열, 고난과 역경, 기쁨과 슬픔을 함께 가슴 졸이며 지켜보았고, 끝끝내 그 이야기의 결말이 처절해서 나에게 아..
[2502] 현재 시점에서 작가에게 필요한 스토리 생성 연구는 무엇일까
·
✨ Story Generation/연구 관련 생각
본격적인 연구주제를 정하기 전에 실제로 소설을 쓰고 있는 한 사람의 입장에서 과연 AI로 소설을 쓸 수 있다면 어떤 점에서 필요할지를 먼저 생각해보려 한다.  # 소설을 쓰는 과정 소설을 쓰는건 마치 코딩을 하듯이 복합적인 과정을 거친다. 그렇기에 하나로 정형화할 수 없고 사람마다 각각의 방식이 다 다르겠지만, 우선 필자의 경우는 이렇다. 1. 소재를 떠올린다.2. 소재들을 모아서 얼기설기 엮어서 구체화한다. 이 때 캐릭터부터 구체화할 수도 있고, 배경 이야기부터, 혹은 설정부터, 혹은 한 장면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시킬 수도 있다. 시간순으로 구체화할 수도 있고, 반대로 사건을 짚어가면서 거꾸로 구체화할 수도 있다.3. 처음부터 끝까지의 서사가 담겨있는 플롯을 완성한다.4. 플롯을 바탕으로 소설을 쓰기 ..
[2022-1] 인공지능 발전에 따른 대규모 언어모델의 등장과 소설생성에 따른 소설가의 존재 의미와 발전 가능성 고찰
·
✨ Story Generation/연구 관련 생각
경희대학교 기초교과 주제연구학술에세이 최종본 대주제 : 인간세부 소주제 : 인공지능 발전에 따른 대규모 언어모델의 등장과 소설생성에 따른 소설가의 존재 의미와 발전 가능성 고찰 1. 서론 : 소설을 쓰는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작가는 위협을 받을까? 우리는 어느새 사람들의 삶에 스며든 인공지능과 함께 살고 있다. 좋아할 만한 영상을 추천해주고, 검색어를 자동완성 시켜주고, 꽤 준수한 수준의 번역을 해주는 역할을 하는 이 모든 것이 인공지능으로 이뤄졌다는 것은 그리 놀랄 만한 일이 아닐 것이다. 한국에서는 2016년의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국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인공지능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러한 인공지능은 다양한 분류로 나눌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미지를 분석하는 컴퓨터 비전, 그림을 생성해내는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