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error: XDG_RUNTIME_DIR not set in the environment.
·
✨ 공부 기록/웹 개발
리눅스 환경에서 php와 apache 연동을 확인하기 위해 sudo gedit /var/www/phpinfo.php 이 코드를 계속 시도했는데 제목과 같은 오류가 떴다. 그리고 발견한 해답은 ssh 접속 상태에서는 gedit 사용이 안된다는 것. -> vim이나 nano를 사용하면 가능하다. sudo vim /var/www/phpinfo.php (qastack.kr/superuser/774240/sudo-gedit-gtk-warning-cannot-open-display)
[Ubuntu] sudo: unable to resolve host 해결
·
✨ 공부 기록/웹 개발
구글에 에러 메세지를 검색하면 웬만한 문제들이 해결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이 에러 메세지도 마찬가지로 hostname과 hosts의 hostname을 동일하게 해주면 문제 해결이 되는 것이었는데, 리눅스를 처음 써보는 입장으로서는 어떻게 글자를 바꿀 수 있었는지 몰랐다는 점이다. 해결법: 검색을 해보니까 vi 편집기의 사용법이 있었다. esc버튼으로 명령모드로 돌아올 수 있고, 이 상태일 때는 :q(종료), :q!(무조건 종료), :wq(변경된 내용 저장 후 종료)라고 한다. 그래서 hostname을 입력해서 확인한 후에, sudo vim /etc/hosts를 통해 vi를 시작할 수 있다(?) 거기서 i나 a, o키를 누르면 편집모드로 들어갈 수 있고, hostname과 같게 수정한 후에는 esc키를..
IX클라우드 사용기(완전 첫걸음)
·
✨ 공부 기록/웹 개발
*서버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채로 클라우드서버를 접속해본 경험담으로, 정말 기초적인 내용을 다룰 예정입니다.* 학교에서 IX클라우드를 대여해준다기에 학기초에 그게 뭔지도 제대로 모르고 일단 신청을 해뒀었다. 사실대로 말하면 아직도 제대로 이해는 다 못한 상태이다. 그래도 일단 사용을 시작해 봤기에 그 과정을 공유하려 한다. 우연히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내 컴퓨터에서 모델을 돌리거나, 웹서버를 두지 않고 클라우드를 이용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고 - 그게 가능한지는 아직 모르겠다 - 학교에서 준 메일을 바탕으로 클라우드 접속을 시도해보았다. 우선 처음에는 'ssh 접속 프로그램을 통해서 서비스에 접속하라'는 친절한 안내를 보지 못하고, 무작정 kinx 사이트로 들어가보았다. 대여할 때 이름이 I..
[KHU] Web Programming: Lecture 17. Introduction to Web 정리
·
✨ 공부 기록/웹 개발
* 웹개발 초보라 강의 그대로 요약해서 잘못된 정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 경희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학과에서는 실제 강의가 되었던 여러 영상을 오픈하고 있습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찾아서 들으시면 좋을 듯 합니다. 본 게시글의 강의의 출처는 Web Programming: Lecture 17. Introduction to Web입니다. - 웹 프로그래밍은 비교적 쉽다. 배울 것들이 몇 가지 있는데, 여러가지를 얕게 훑어서 깊이가 없다고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 HTML, CSS, Javascript - 클라이언트 관련 - Python, Node.js(server-side) - 파이썬으로도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 node.js는 굉장히 많이 쓰입니다. - 컴공과에 웹 서비스 프로그래밍이라는 과목이 있다...
김온달
'✨ 공부 기록/웹 개발' 카테고리의 글 목록